3. 브랜치 정보 확인하기
- 여러 브랜치에서 각각 커밋이 이루어질 때 정보를 확인한다.
1) 커밋끼리 어떤 관계를 하고 있는지 , 2) 브랜치 사이의 어떤 차이가 있는지
3-1. 새 브랜치에서 커밋하기
// apple.txt : apple 고객사만을 위한 내용
"git add . " : 현재 저장소에서 수정된 파일을 한꺼번에 스테이지에 올린다.
"git log --oneline --branches" : 어떤 브랜치에서 어떤 커밋을 만들었는지 볼 수 있다.
apple: " | " 를 따라가다 보면 work 3가 나오고,
master : " / "를 따라가다 보면 work 3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master Branch나 apple Branch나 최신 커밋 450cc0c까지는 같고,
그 이후부터는 브랜치마다 다른 커밋을 만들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3-2. 브랜치 사이의 차이점 알아보기
- [branch1]..[branch2] : 브랜치 이름 사이에 마침표 두 개(..)를 넣으면
마침표 왼쪽에 있는 브랜치(branch1)를 기준으로 오른쪽 브랜치 (branch2)와 비교한다.
git log master..apple: master 브랜치에는 없고, apple 브랜치에만 있는 커밋을 보여준다.
git log apple..master: apple 브랜치에는 없고, master 브랜치에만 있는 커밋을 보여준다.
'Git&GitHub > 이론&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일차] 깃과 브랜치 - 브랜치 관리하기 (0) | 2020.08.13 |
---|---|
[9일차] 깃과 브랜치 - 브랜치 병합하기 (0) | 2020.08.05 |
[7일차] 깃과 브랜치 - 브랜치(Branch)만들기 (0) | 2020.07.25 |
[6일차] 깃과 브랜치 - 브랜치(branch)란? (0) | 2020.07.22 |
[5일차] 깃으로 버전 관리 - 3 (0) | 2020.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