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GitHub/이론&공부

[14일차] 깃허브로 백업하기 - 원격 저장소에 올리기 및 내려받기

마쏘 2020. 8. 21. 16:41

4. 원격 저장소에 올리기 및 내려받기

   -  지역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를 연결했으므로 
      1) 지역 저장소의 소스를 원격 저장소에 올릴 수도 있고,                    => push

      2) 원격 저장소에 있는 소스를 지역 저장소로 내려받을 수도 있다.    => pull

 

   4-1. 원격 저장소에 파일 올리기 - git push

         - push : 지역 저장소의 소스를 원격 저장소롤 올리는 것

원격 저장소에 처음 접속할 때 나타나는 내용 중 두 번째 항목이 바로 푸시하라는 명령이다

"git push -u origin master"

원격 저장소의 master branch로 push 하라는 명령

'-u' 옵션

지역 저장소의 branch를 원격 저장소의 master branch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처음에 한번만 사용하면 된다.

로그인 하기

push가 끝났다는 것은 지역 저장소의 커밋이 원격 저장소로 올라갔다는 뜻이다.

 

깃허브 저장소가 열려있는 웹 브라우저 창에서 새로고침하기
1 commit 클릭하기 및 커밋한 내용 확인하기

 

한 번이라도 지역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를 연결해서 push했다면 그 다음부터는 더 간단하게 푸시할 수 있다.

f1.txt 수정 및 스테이징&커밋, 이후 git push (하다가 노트북이 꺼져서 이미 업데이트 되었다고 뜬다..)
add b 클릭하기
가장 최근에 수정한 b가 들어있다

   4-2. 깃허브 사이트에서 직접 커밋하기

         - 보통은 지역 저장소의 커밋을 원격 저장소에 푸시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지만, 지역 저장소가 있는 컴퓨터가 없을 때

           깃허브 사이트에서 직접 커밋할 수도 있다.

깃허브의 원격 저장소로 접속한다
f2.txt를 생성하고 파일 내용 입력하기
스크롤을 내려 기본 커밋 메시지인 "Create f2.txt"를 원하는 내용으로 수정한 후 [Commit new file]을 클릭한다
새로운 커밋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3. 원격 저장소에서 파일 내려받기 - git pull

         -  pull : 원격 저장소에서 지역 저장소로 내려받는 것

         - 원격 저장소에 있는 소스 파일은 (1) 다른 사용자가 수정했거나, (2) 깃허브 사이트에서 직접 커밋하면

           지역 저장소와 차이가 생긴다.

         - 따라서 원격 저장소와 지역 저장소의 상태를 같게 만들기 위해 원격 저장소에서 지역 저장소로 가져온다.

 

지역 저장소에서 f1.txt를 만들었고, 깃허브 사이트 원격 저장소에서 f2.txt를 만들었기 때문에 f1.txt만 존재한다.
origin(원격 저장소)에 있는 내용을 master branch로 가져오라는 명령이다 (default로 설정되어 있어 git pull만 해도 가능)

 

   4-4. 깃허브 저장소 화면 살펴보기

         - 저장소에서 커밋하거나 지역 저장소의 커밋을 푸시하고 나면, 맨 처음에 만났던 저장소 화면과 달라져 있다.

1 깃허브 계정 / 저장소 이름
계정 이름을 누르면 해당 계정에 대한 요약 정보 화면으로 이동, 저장소 이름을 누르면 저장소 파일 목록 화면으로 이동
2 이 저장소의 알림을 받을지 안받을지 설정하는 것이다.
3 이 저장소를 즐겨 찾기하는 것으로 숫자가 높을 수록 좋아하는 사용자가 많다는 것이다.
4 이 저장소를 복제한다. 깃허브에서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 참여하거나, 직접 소스를 분석하면서 공부하려면 먼저 저장소를 복제해야 한다. (-> 6장에서 살펴본다)
5 커밋과 관련된 정보들(브랜치 개수, 커밋 개수 등등)이다. 하단 오른쪽엔 3 commots 처럼 커밋 개수도 제공한다.
6 저장소에 있는 파일 정보이다. 파일 이름과 최신 커밋 메시지, 최신 커밋 시간이 나타난다.

           깃허브에서 다른 저장소를 살펴볼 때 2,3,4를 눈여겨 보면 해당 저장소의 소스를 참고할지 말지 결정하는 것에 많은

           도움이 된다. 

댓글수0